맨위로가기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9년 이탈리아 배구 연맹 설립 이후,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획득 이후 강호로 발돋움하여,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시기인 1990년대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기간 동안 1990년과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1995년 월드컵 우승, 1993년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우승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올림픽에서는 1984년, 2000년, 2012년에 동메달, 1996년, 2004년, 2016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세계 랭킹 3위 이내를 유지했으나, 세대교체 실패로 부진을 겪기도 했다. 이후 202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농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창립 회원국으로서 올림픽 은메달 2회와 유러바스켓 우승 2회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해왔고, 현재는 잔마르코 포체코 감독이 이끌고 있다.
  • 이탈리아의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년대에 창설되어 국제 대회에 참가해 왔으며,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최고 9위와 1부 리그 진입을 기록했으나 현재는 디비전 I A에 속해 있다.
  • 국제 배구 -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은 스페인을 대표하여 국제 배구 대회에 참가하는 남자 배구 팀으로, 월드 리그와 유러피언 리그에서 경쟁력을 다져왔다.
  • 국제 배구 -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배구계의 강자로 군림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배구 연맹으로부터 대회 참가 금지 조치를 받았다.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탈리아 배구 연맹 로고
이탈리아 배구 연맹 로고
별칭Gli Azzurri (푸른 전사들)
연맹이탈리아 배구 연맹
웹사이트federvolley.it
대륙 연맹유럽 배구 연맹
감독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올림픽
출전 횟수13
첫 출전1976
최고 성적[[File:Silver medal.svg|16px]] (1996, 2004, 2016)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9
첫 출전1949
최고 성적[[File:Gold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1990, 1994, 1998, 2022)
월드컵
출전 횟수8
첫 출전1989
최고 성적[[File:Simple gold cup.svg|16px]] (1995)
유럽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29
첫 출전1948
최고 성적[[File:Gold medal europe.svg|16px]] (1989, 1993, 1995, 1999, 2003, 2005, 2021)
유니폼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홈 유니폼
홈 유니폼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원정 유니폼
원정 유니폼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 세 번째 유니폼
세 번째 유니폼
메달 기록
올림픽금: 0, 은: 3, 동: 3
세계 선수권 대회금: 4, 은: 1, 동: 0
월드컵금: 1, 은: 3, 동: 1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금: 1, 은: 1, 동: 2
월드 리그금: 8, 은: 3, 동: 4
네이션스 리그금: 0, 은: 0, 동: 0
유럽 선수권 대회금: 7, 은: 4, 동: 3
유니버시아드금: 3, 은: 1, 동: 5
지중해 게임금: 7, 은: 2, 동: 2
굿윌 게임금: 1, 은: 0, 동: 0

2. 역사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탈리아는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계기로 강호로 떠올랐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4][5]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기록했고, 이후 소련 붕괴와 함께 199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세리에 A 선수들의 활약으로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3연패를 비롯해 월드컵, 월드리그,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하지만 올림픽에서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3][6],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7][8],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9][10] 등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2. 1. 연맹 창설 및 초기 (1929년 ~ 1970년대)

1929년에 이탈리아 배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했다.[2] 이탈리아가 처음으로 획득한 메달은 194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동메달[3][4]이지만, 강팀으로 도약한 것은 자국에서 개최된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이후인 1980년대부터이다.

2. 2. 벨라스코 감독과 황금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이탈리아는 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의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기록했다.[4][5]

1989년, 훌리오 벨라스코가 이탈리아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다.[1] 그는 선수 개개인의 전문성보다는 팀 전체의 단결, 즉 "스퀘어" 개념을 강조했다. 꼼꼼하고 엄격한 훈련 방식을 통해 팀을 이끌었으며, 부임 첫 해인 1989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이끌었다.[1]

벨라스코 감독 체제하에 이탈리아 대표팀은 세계 배구를 제패하며 황금기를 맞이했다.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성적
1990년 세계 선수권 대회우승
1990년 굿윌 게임우승
1990년 월드 리그우승
1991년 월드 리그우승
1991년 지중해 게임우승
1992년 월드 리그우승
1993년 그랜드 챔피언스컵우승
1994년 월드 리그우승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우승
1995년 월드 리그우승
1996년 올림픽은메달[3][6]



1996년 올림픽 은메달을 끝으로 벨라스코 감독은 사임했다.[1]

벨라스코 감독 시절, 이탈리아 대표팀은 조르지, 안드레아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 등 이른바 "황금 세대" 선수들을 중심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1]

2. 3. 혼란기와 재도약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초반까지 이탈리아는 국제 배구 연맹(FIVB) 랭킹 3위 이내를 유지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군림했다.[11]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에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7][8]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브라질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9][10]

그러나 아테네 올림픽 이후 세대교체에 실패하면서 이탈리아는 부진에 빠졌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3위 결정전에서 러시아에 3-0으로 패하며 4개 대회 만에 올림픽 메달 획득에 실패했고,[15][16] 200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10위에 그쳤다.

이후 이탈리아는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4위,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1년 월드컵 4위 등 조금씩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3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17][18]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하며 7개 대회 만에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이탈리아는 1948년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3][4] 197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강호로 부상했고,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적인 강팀으로 성장했다.

1990년대에는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3연패, 월드컵, 월드리그,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유럽 선수권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를 석권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올림픽에서는 금메달과 인연을 맺지 못하고 은메달과 동메달에 머물렀다.

2000년대 초반까지 FIVB 랭킹 상위권을 유지했지만,[11] 세대 교체 실패로 부진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 다시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4위,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등을 기록하며 재도약했다.

이탈리아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강세를 보였다.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우승준우승3위
올림픽033
세계 선수권 대회410
월드컵131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102
월드리그834
유럽 선수권 대회753


3. 1. 올림픽

올림픽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선수 명단
1964예선 탈락
1968예선 탈락
1972예선 탈락
19761라운드8위505215
19801라운드9위523511
1984준결승동메달642147
19881라운드9위7431313
19928강5위752188
1996결승은메달871235
2000준결승동메달871218
2004결승은메달8532011
2008준결승4위8531714
2012준결승동메달8531613
2016결승은메달8621910
20208강6위6421410
2024준결승4위6421210
2028향후 경기
2032향후 경기
합계-16회 중 13회905832194135



이탈리아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메달[4][5]을 획득했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결승에서 네덜란드에 패해 은메달[3][6]을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에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동메달[7][8]을 땄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브라질에 패해 은메달[9][10],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3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를 이기고 동메달[17][18],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처럼 이탈리아는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금메달은 아직 획득하지 못했다.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단
19491라운드8위52389
1952예선 탈락
19561라운드14위10642214
1960예선 탈락
19621라운드14위11561923
19661라운드16위1129931
19701라운드15위11382328
19741라운드19위11742414
1978결승2위10822412
19821라운드14위10822412
19862라운드11위8351418
1990결승1위761187
1994결승1위761206
1998결승1위12111337
20028강5위9632314
20062라운드5위11832813
2010준결승4위10822612
20142라운드13위9361422
20183라운드5위10822611
2022결승1위770214
2025진출 확정
합계4회 우승19/2116910762376257



1990
금메달
안드레아 아나스타시, 로렌초 베르나르디, 마르코 브라치, 루카 칸타갈리,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안드레아 가르디니, 안드레아 지아니, 안드레아 루케타, 마르코 마르티넬리, 로베르토 마시아렐리, 파올로 토폴리, 안드레아 조르지. 감독: 훌리오 벨라스코
1994 -- 금메달
로렌초 베르나르디, 마르코 브라치, 루카 칸타갈리, 안드레아 가르디니, 안드레아 지아니,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자코모 지레토, 파스콸레 그라비나, 사무엘레 파피, 다미아노 피피, 파올로 토폴리, 안드레아 조르지. 감독: 훌리오 벨라스코
1998 -- 금메달
마르코 브라치, 미르코 코르사노, 알레산드로 페이, 안드레아 가르디니, 안드레아 지아니,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파스콸레 그라비나, 마르코 메오니, 사무엘레 파피, 미켈레 파시나토, 시모네 로잘바, 안드레아 사르토레티. 감독: 베베토
2022 -- 금메달
시모네 안자니, 파비오 발라소, 마티아 보톨로, 잔루카 갈라시, 시모네 잔넬리, 다니엘레 라비아, 알레산드로 미키엘레토, 레안드로 모스카, 줄리오 피날리, 프란체스코 레치네, 유리 로마노, 로베르토 루소,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레오나르도 스칸페를라. 감독: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3. 3. 월드컵

월드컵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소집 명단
1965예선 탈락
1969
1977
1981-7위716918소집 명단
1985예선 탈락
1989-2위761205소집 명단
1991예선 탈락
1995-1위11110333소집 명단
1999-3위11832614소집 명단
2003-2위1192298소집 명단
2007예선 탈락
2011-4위11832815소집 명단
2015-2위11101308소집 명단
2019-7위11561419소집 명단
2023예선 탈락
합계1회 우승8/1480582218990-



1995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9년, 2003년, 2015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3. 4.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기록 (폐지)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선수 명단
1993-1위550154선수 명단
1997불참
2001
2005-3위532116선수 명단
2009불참
2013-3위5231210선수 명단
2017-2위541148선수 명단
총합1회 우승4/7201465228-


  • 1993 — -- '''금메달'''
  • : 브라치, 갈리, 가르디니, 지아니, 그라비나, 조르지, 칸타갈리, 벨리니, 피피, 파시나토, 베르나르디. 감독: 벨라스코

3. 5. 월드 리그 / 네이션스 리그

'''우승'''   준우승   3위   4위

월드 리그 기록 (폐지)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획득세트 손실
1990결승1위141133721
1991결승1위181625216
1992결승1위181625017
1993준결승3위222026217
1994결승1위161243819
1995결승1위171434519
1996결승2위171434519
1997결승1위171434717
1998결선 라운드4위15782726
1999결승1위161244220
2000결승1위181354433
2001결승2위171254124
2002준결승4위171434419
2003준결승3위171073727
2004결승2위15963422
20051라운드7위12662226
20062라운드6위16793231
20071라운드9위12481930
20081라운드7위12843022
20091라운드7위12842717
20102라운드6위14953521
20112라운드6위151143518
20121라운드11위12572328
2013준결승3위141043523
2014준결승3위16973325
20152라운드5위14772631
2016준결승4위13762520
20171라운드12위9271323
총계8회 우승28/284252871381000631



네이션스 리그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획득세트 손실
20181라운드8위15873128
20191라운드8위15873329
2020
20211라운드10위15692134
2022준결승4위161153821
2023준결승4위15963325
총계0회 우승5/5764234156137


3. 6. 유럽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획득세트 손실선수 명단
1948년-3위532116선수 명단
1950년예선 탈락
1951년1라운드8위52389선수 명단
1955년1라운드9위752158선수 명단
1958년1라운드10위11832619선수 명단
1963년1라운드10위11832415선수 명단
1967년결선 라운드8위10371125선수 명단
1971년1라운드8위8622110선수 명단
1975년1라운드10위725817선수 명단
1977년1라운드8위7341216선수 명단
1979년결선 라운드5위7341314선수 명단
1981년1라운드7위752159선수 명단
1983년결선 라운드4위7431616선수 명단
1985년결선 라운드6위7161018선수 명단
1987년1라운드9위7341414선수 명단
1989년결승1위761207선수 명단
1991년결승2위761187선수 명단
1993년결승1위770215선수 명단
1995년결승1위761196선수 명단
1997년준결승3위752158선수 명단
1999년결승1위541135선수 명단
2001년결승2위7431410선수 명단
2003년결승1위770214선수 명단
2005년결승1위761198선수 명단
2007년2라운드6위6421411선수 명단
2009년2라운드10위624812선수 명단
2011년결승2위642158선수 명단
2013년결승2위642159선수 명단
2015년준결승3위752187선수 명단
2017년8강5위532116선수 명단
2019년8강6위752169선수 명단
2021년결승1위990275선수 명단
2023년결승2위981247선수 명단
총합7회 우승22815177430330-


  • - 1989년 우승: 아나스타시, 베르나르디, 브라치, 칸타갈리, 데 조르지, 가르디니, 루케타, 마르구티, 마시아렐리, 파사니, 토폴리, 조르지. 코치: 벨라스코
  • - 1993년 우승: 벨리니, 브라치, 칸타갈리, 갈리, 가르디니, 지아니, 그라비나, 마르티넬리, 파시나토, 피피, 토폴리, 조르지. 코치: 벨라스코
  • - 1995년 우승: 베르나르디, 보볼렌타, 브라치, 칸타갈리, 가르디니, 지아니, 그라비나, 메오니, 파피, 파시나토, 토폴리, 안드레아 조르지. 코치: 벨라스코
  • - 1999년 우승: 브라치, 코르사노, 가르디니, 지아니, 지옴비니, 그라비나, 메오니, 마스트란젤로, 파피, 로살바, 사르토레티, 토폴리. 코치: 아나스타시
  • - 2003년 우승: 비리반티, 체르니치, 코치, 페이, 지아니, 마스트란젤로, 메오니, 파피, 피피, 사르토레티, 사바니, 베르밀리오. 코치: 몬탈리
  • - 2005년 우승: 체르니치, 치솔라, 코르사노, 코치, 페이, 워스코, 마스트란젤로, 파파로니, 사바니, 신티니, 텐카티, 베르밀리오. 코치: 몬탈리
  • - 2021년 우승: 안자니, 발라소, 보톨로, 코르테시아, 갈라시, 지아넬리, 라비아, 미키엘레토, 피치넬리, 피날리, 리치, 레치네, 로마노, 스베르톨리. 코치: 데 조르지

4. 역대 감독

다음은 이탈리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1]

감독재임 기간
피에트로 베르나르디1947
안젤로 코스타1947-1949
렌초 델 키카1949-1953
이반 트르나이스틱1953-1966
요세프 코작1966-1969
오도네 페데르조니1969-1974
오도네 페데르조니 & 요세프 코작1970
프랑코 안데를리니1974-1976
아드리아노 파블리카1976-1977
에드워드 스코레크 (임시)1978
카르멜로 피테라1978-1982, 1988
니노 쿠코 (임시)1981
실바노 프란디1983-1986
알렉산데르 스키바1987
미켈란젤로 로 비앙코 (임시)1988
훌리오 벨라스코1988-1996
안젤로 프리고니 (임시 - 월드 리그)1990-1991
다니엘레 바뇰리 (임시 - 월드 리그)1992
파울로 호베르토 데 프레이타스1996-1998
안드레아 아나스타시1998-2002
김호철2001
잔 파올로 몬탈리2002-2007
안드레아 아나스타시2007-2010
마우로 베루토2010-2015[19]
잔로렌초 블렌지니2015-2021
안토니오 발렌티니 (발리 네이션스 리그)2021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2021-



==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시기 (1989-1996) ==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은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이탈리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을 이끌며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1] 그는 선수 개개인의 전문성보다는 팀 전체의 단결, 즉 "스퀘어"의 개념을 강조하며 팀을 하나로 묶었다. 꼼꼼하고 철저한 준비성과 엄격한 훈련 방식으로 유명했지만, 동시에 승리하는 방법을 아는 유능한 지도자였다.[1]

벨라스코 감독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 대표팀은 1990년대 세계 배구를 휩쓸었다. 주요 우승 경력은 다음과 같다.



벨라스코 감독은 조르지, 안드레아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 등 뛰어난 선수들을 이끌며 이탈리아 배구의 황금기를 이끌었다.[1]

5. 선수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재임 시절(1989-1996)에는 조르지,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와 같은 선수들이 활약하며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1]

다음은 역대 주요 선수들의 출전 횟수이다. (2012년 8월 12일 기준)[1]

#선수출전 횟수
1지아니474
2가르디니418
3루이지 마스트란젤로363
4파피361
5브라치347
6토폴리342
7칸타갈리330
8데 조르지330
9사르토레티330
10조르지325



이 외에도 안드레아 아나스타지, 루카 칸타갈리, 로렌초 베르나르디, 파스콸레 그라비나, 다미아노 피피, 시모네 로살바, 비고르 보보렌타, 흐리스토 즈라타노프, 미르코 코르사노, 알레산드로 페이, 마테이 체르니치, 발레리오 베르미글리오, 알베르토 치졸라, 파올로 코치, 크리스티안 사바니, 자코모 신티니, 마우로 가보토, 미칼 라스코, 벤치슬라프 시메오노프, 알레산드로 파파로니, 마테오 마르티노, 안드레아 사라, 에마누엘레 빌라렐리, 이반 자이체프, 드라간 트라비차, 시모네 부티, 필리포 란자, 질리 코발, 루카 베토리, 마테오 피아노, 시모네 안자니, 마시모 콜라치, 오스마니 유안토레나, 다비데 칸데랄로, 엔리코 체스터, 루이지 란다초, 가브리엘레 넬리, 다니엘레 마초네,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딕 코이, 프란체스코 레치네 등 많은 선수들이 이탈리아 대표팀을 거쳐갔다.

5. 1. 현재 선수 명단

번호이름포지션신장 (cm)소속팀
5알레산드로 미키엘레토아웃사이드 히터 (OH)205 트렌티노 볼리
6시모네 자넬리세터 (S)200 시스 페루자--
7파비오 바라조리베로 (L)178 쿠치네 루베 치비타노바
8리카르도 스베르톨리세터 (S)188 트렌티노 볼리
10레오나르도 스칸페라리베로 (L)184
12마티아 보톨로아웃사이드 히터 (OH)196 쿠치네 루베 치비타노바
13로렌초 코르테시아미들 블로커 (MB)202
14잔루카 갈라시아웃사이드 히터 (OH)201
15다니엘레 라비아아웃사이드 히터 (OH)200 트렌티노 볼리
16유리 로마노아포짓 스파이커 (OP)201 시스 페루자
20토마소 리날디아웃사이드 히터 (OH)200 모데나 배구
23알레산드로 보볼렌타아포짓 스파이커 (OP)202
28조반니 산기네티미들 블로커 (MB)203 모데나 배구
30레안드로 모스카미들 블로커 (MB)208 베로나 볼리


5. 2. 역대 주요 선수

훌리오 벨라스코 감독 재임 시절(1989-1996)에는 조르지, 가르디니, 지아니, 베르나르디, 그라비나, 브라치, 토폴리, 루케타, 파피, 파시나토, 메오니와 같은 선수들이 활약하며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1]

다음은 역대 주요 선수들의 출전 횟수이다. (2012년 8월 12일 기준)[1]

#선수출전 횟수
1지아니474
2가르디니418
3루이지 마스트란젤로363
4파피361
5브라치347
6토폴리342
7칸타갈리330
8데 조르지330
9사르토레티330
10조르지325



다른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안드레아 아나스타지 (1981-1991년)
  • 루카 칸타갈리 (1986-1996년)
  • 안드레아 졸지 (1986-1998년)
  • 안드레아 가르디니 (1986-2000년)
  • 로렌초 베르나르디 (1987-2001년)
  • 페르디난도 데 조르지 (1987-2002년)
  • 파올로 토폴리 (1987-2004년)
  • 마르코 브라치 (1988-2002년)
  • 안드레아 자니 (1988-2005년)
  • 파스콸레 그라비나 (1990-2000년)
  • 안드레아 사르토레티 (1993-2004년)
  • 사무엘 파피 (1993-2012년)
  • 다미아노 피피 (1993-2004년)
  • 마르코 메오니 (1994-2008년)
  • 시모네 로살바 (1995-2001년)
  • 비고르 보보렌타 (1995-2008년)
  • 흐리스토 즈라타노프 (1997-2008년)
  • 미르코 코르사노 (1998-2008년)
  • 알레산드로 페이 (1998-2012년)
  • 마테이 체르니치 (1998-2010년)
  • 루이지 마스트란젤로 (1999-2012년)
  • 발레리오 베르미글리오 (1999-2010년)
  • 알베르토 치졸라 (2000-2008년)
  • 파올로 코치 (2001-2005년)
  • 크리스티안 사바니 (2001-2012년)
  • 자코모 신티니 (2001-2005년)
  • 마우로 가보토 (2001-2008년)
  • 미칼 라스코 (2002-2012년)
  • 벤치슬라프 시메오노프 (2004년)
  • 알레산드로 파파로니 (2005-2008년)
  • 마테오 마르티노 (2007-2009년)
  • 안드레아 사라 (2007-2010년)
  • 에마누엘레 빌라렐리 (2008-2016년)
  • 이반 자이체프 (2010-)
  • 드라간 트라비차 (2010-2015년)
  • 시모네 부티
  • 필리포 란자
  • 질리 코발
  • 루카 베토리
  • 마테오 피아노
  • 시모네 안자니
  • 마시모 콜라치
  • 시모네 자넬리
  • 오스마니 유안토레나
  • 다비데 칸데랄로
  • 엔리코 체스터
  • 루이지 란다초
  • 가브리엘레 넬리
  • 다니엘레 마초네
  • 리카르도 스베르톨리
  • 딕 코이
  • 프란체스코 레치네

6. 팀

이탈리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하계 올림픽 배구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8위를 기록한 이후,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9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따냈다.[1] 이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은메달,[1]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차지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1]

이탈리아 대표팀의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선수 명단
19761라운드8위505215선수 명단
19801라운드9위523511선수 명단
1984준결승동메달642147선수 명단
19881라운드9위7431313선수 명단
19928강5위752188선수 명단
1996결승은메달871235선수 명단
2000준결승동메달871218선수 명단
2004결승은메달8532011선수 명단
2008준결승4위8531714선수 명단
2012준결승동메달8531613선수 명단
2016결승은메달8621910선수 명단
20208강6위6421410선수 명단
2024준결승4위6421210선수 명단
합계0회 우승13/16905832194135


6. 1. 유니폼

기간키트 제공업체
2000–2008나이키, 아식스
2008–2021아식스, 아르마니, 에레아


6. 2. 스폰서십

DHL, 킨더 (페레로 SpA), 혼다, 미즈노가 주 스폰서이며, 산탈, 디아도라, 에틱스포츠, 리액싱, 크라이, 뉴트리라이트, 울리베토, 윈폼 등이 협찬하고 있다.

7. 미디어

이탈리아 대표팀의 경기와 친선 경기는 현재 RAI와 Rai Sport에서 방송된다.

참조

[1] 웹사이트 Italy in Hall of Fame http://www.volleyhal[...]
[2]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4-11-30
[3] 웹사이트 Breve Storia della Nazionale Italiana Maschile http://portal.federv[...] FIPAV 2010-06-08
[4] 웹사이트 Medagliere Nazionale Maschile Seniores http://www.federvoll[...] FIPAV 2014-11-30
[5]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1984: China cherish their California girls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6]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 Netherlands prove Italy’s nemesis once again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7] 웹사이트 Italy settles for bronze http://sportsillustr[...] CNNSI.com 2000-10-01
[8] 웹사이트 Olympic Countdown - Cuba complete unprecedented hat-trick https://www.fivb.org[...] FIVB 2014-11-30
[9] 웹사이트 Golden Brazil win volleyball title https://edition.cnn.[...] CNN.com 2004-08-29
[10] 웹사이트 Brazil beat Italy 3-1 (25-15, 24-26, 25-20, 25-22) - duration 1:36 https://www.fivb.org[...] FIVB 2004-08-29
[11] 웹사이트 FIVB World Ranking - Men http://www.fivb.org/[...] FIVB 2005-01-15
[12] 웹사이트 北京オリンピックバレーボール世界最終予選 - 対戦チーム イタリア http://www.tbs.co.jp[...] TBS 2010-06-08
[13] 웹사이트 Italy join Japan in claiming ticket to Beijing on Tokyo World Men's Olympic qualifier final day http://www.fivb.org/[...] FIVB 2008-06-08
[14] 뉴스 日本信じられない…大逆転負け/バレー http://beijing2008.n[...] 日刊スポーツ 2008-06-01
[15] 웹사이트 2008 Summer Olympics - Men's Volleyball http://sportsillustr[...] SI.com 2008-08-23
[16] 웹사이트 Russia claim bronze again http://www.fivb.org/[...] FIVB 2008-08-24
[17] 웹사이트 Men's Volleyball - Standing http://www.london201[...] 2012-08-18
[18] 웹사이트 Italy claim classification match with Bulgaria to seize their fifth Olympic medal https://www.fivb.org[...] FIVB 2012-08-12
[19] 뉴스 五輪切符をめぐるワールドカップの歓喜と涙 http://www.fujitv.co[...] バボChannet フジテレビ 2015-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